서예최고위과정

(2) 중세 국어(中世國語) - 세종 어제 훈민정음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1. 해제 : 1446년(세종 28년)에 창제하신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하여 '세종 어제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 한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조 5년(1459)에 간행된 것이 가장 오랜 것이다.


2. 작자 : 세종대왕과 정인지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① 창제자--세종 대왕 

② 협찬자--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최항, 박팽년, 이선로, 강희안 등 집현전 학자들


3. 제작 연대 : '예의'는 세종 25년(1443), '해례'와 '정인지 서'는 세종 28년(1446)에 제작

① 창제--세종 25년(1443) 음력 12월에 '예의' 완성 

② 반포--세종 28년(1446) 음략 9월에 '훈민정음 해례본' 간행


4. 제작 동기 : 백성들의 문자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한자음 개정과 함께 이루어짐


5. 취지

① 어지(御旨)에서 밝힌 자주(自主), 애민(愛民), 실용(實用) 정신의 구현

② 우리 나라 한자음의 정리와 우리말의 표기법 통일


6. 배경

① 음운학적 배경 : '홍무정운(洪武正韻)' 등 중국 음운학 책의 체계와 이론

② 사상적 측면--중국의 역학(易學)과 성리학(性理學)


7. 체제

 * 예의 - 개론적 설명 부분, 언해된 부분

 ① 어지(御旨) : 창제의 취지, 세종 대왕의 서문

 ② 글자와 소리값 : 초성, 중성, 종성 글자의 소리값을 설명

 ③ 글자의 운용 : 나란히쓰기, 이어쓰기, 붙여쓰기, 음절이루기, 점찍기의 용법을 설명

 

 * 해례-구체적 해설 부분, 언해되지 않은 부분(제자헤,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의 5해 1례)


  * 정인지 서-훈민정음을 제작한 경위 설명


8. 창제 정신

   ① 자주정신- 중국과 우리 나라의 차이 인식 

   ② 애민정신- 문자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

   ③ 실용정신-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로 제작


9. 출전 : 월인석보본  .연대 : 세조 5년(1459년)  


10. 표현

① 간결하고 분명한 문체

② 지시적 의미만 사용

③ 예시적


11. 표기상 특징

① 표음적 표기법, 이어적기 

② '모든 음가 사용'등 사용 

③ 성조가 엄격히 적용됨

④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⑤ 8종성법 적용

⑥ 모음조화 엄격히 적용


12. 내용 : 훈민정음 해례본의 예의 부분만 언해

① 어지(御旨)-세종대왕의 서문  

② 자음(초성), 모음(중성)의 음가

③ 자모의 운용-이어쓰기, 나란히쓰기, 붙여쓰기

④ 성음법과 방점-음절 이루기, 점찍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