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동명왕 신화

*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권1,기이(紀異), 고구려
  고구려는 곧 졸본 부여다. 혹 지금의 화주(和州)니 성주(成州)니 하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의 경계에 있다. 국사 고려 본기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시조 동명왕의 성은 고씨(高氏)요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보다 앞서, 북부여 왕 해부루가 동부여로 피해 가고, 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그 때 한 여자를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만나 물으니, "나는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다. 동생들과 놀러 나왔다가 하느님의 아들인 해모수를 만나 웅신산(熊神山) 밑 압록가에서 같이 살았는데, 그는 가서 돌아오지 않는다. 부모가 중매 없이 남을 따라 간 것을 책망하며 여기에 귀양 보냈다."고 하였다.
  금와가 이상히 여겨 유화를 집에 두었더니 햇빛이 비쳐 몸을 피해도 쫓아가며 비추었다. 이로 해서 잉태하여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 들이나 되었다. 왕이 버려서 개, 돼지에게 주어도 먹지 않으며, 길에 버리면 소나 말이 피해 가고, 들에 버리면 새와 짐승이 덮어 주었다. 왕이 깨뜨리려 해도 깨어지지 않으니 도로 어머니에게 주었다. 어머니가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니, 한 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왔다. 기골이 영특하고 기이하여 7세에 벌써 보통 사람과 다르게 뛰어났다.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즐어 쏘면 백발백중하였다. 속담에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기 때문에 이름을 주몽이라 하였다.
  금와에게는 아들 일곱이 있었는데, 주몽과 같이 놀면 그 재주가 늘 따라가지 못하였다. 맏아들 대소(帶素)가 왕에게 말하되"주몽은 사람이 낳은 것이 아니니, 만약 일찍 없애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다."했다. 그러나 왕은 듣지 않고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주몽은 좋은 말을 알아보고 조금씩 먹여 여위게 하고 나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하니, 왕은 살찐 것을 타고 여윈 것은 주몽에게 주었다.
 주몽의 어미가 왕의 다른 아들들이 여러 장수와 함께 주몽을 장차 해치려 함을 알고, "이 나라 사람들이 너를 해치려 하니, 너의 재주와 모략으로 어디로 간들 좋지 않겠는가, 속히 일을 꾸며라."하였다. 이에 주몽이 오이(烏伊) 등 세 사람의 벗과 엄수(淹水)에 이르러 고하되 "나는 하느님의 아들이요, 하백의 손자다. 오늘 도망하고 있는데 뒤쫓는 자가 따라오니 어찌하겠는가?" 하니, 고기와 자라들이 다리를 놓아 주었다. 주몽이 건너자 다리는 사라지고 쫓아오는 군사들은 건너지 못하였다.
  졸본주에 이르러 도읍하였으나 미처 궁실을 짓지 못하여 비류수(沸流水) 위에 초막을 짓고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고씨(高氏)로 성을 삼았으니, 그 때 나이 12세 였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 주몽(B.C 58~19) : 고구려 시조, 성은 고(高). 이름은 주몽(朱蒙). 아버지는 해모수, 어머니는 하백의 딸 유화(柳花)이다.

* 해부루 : 북부여를 세운 해모수의 아들.

* 금화 : 해부루의 아들

* 태백산 : 여기서는 백두산을 이름

* 웅신산 : 일설에 '고마뫼', 개마산'. 백두산이 일명 개마산이므로 백두산의 별칭으로 보기도 함.

엄수 : 지금의 압록강 동북쪽에 있다고 하는 물의 이름.

졸본 주 : 현토군. 한사군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