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고2 문학(상) 2003. 1학기말고사 준비

<오렌지>
 1. 표현상의 특징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상황을 오렌지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이용하여 표현함
 ·상징적 표현이 풍부하게 구사되어 있음
 ·오렌지를 어떤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함
 2. 성격 : 관념적,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3. 주제 : 존재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추구
 4. 어조 :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관념적이고 간절한 어조

  <상춘곡>
 1. 표현상의 특징
  ·다양한 비유법을 구사하여 봄의 정경을 실감나게 묘사하였다.  
  ·고사를 많이 인용하여 고풍스러운 느낌이 든다.
  ·4음보 연속체의 율문으로 유려한 리듬감과 안정감을 준다.
 2. 주제 : 봄을 완성하면서 느끼는 정회와 안빈낙도(安貧樂道)
 3. 이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사대부 가사의 첫 작품으로 이후의 가사(면앙정가, 성산별곡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또 산림 처사로서의 생활을 다룬 은일    (隱逸) 가사의 첫 작품으로 사림파 문학의 계기를 마련한 가사로 평가된다.
 4. 성격 : 주정적, 서정적, 낙천적

<베틀노래>
 1. 표현상의 특징
  ·베틀의 여러 부분의 생김새와 베틀질하는 모습을 실감나게 묘사하였다.  
  ·한자어를 사용하지 않고 순우리말로 여성의 일상 삶에서 오는 소박한 감정을 표현하였다.  
  ·4·4조의 율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음절의 반복에서 오는 언어 유희적인 면이 보인다.
 2. 주제 : 노동의 고통을 잊기 위한 삶의 지혜와 가족애
 3. 이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성격
  이 작품의 화자는 베를 짜서 생활하는 여염집 처녀로 보인다. 그녀가 부모님과 오빠를 모시고 어렵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려 볼 수 있다. 화자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반복적이고 지루한 신체 활동을 오랫동안 해야 했는데 그 고통을 잊기 위해 노래를 불렀던 것이다. 이 노동요가 길고 복잡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은 베짜는 일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과, 베틀의 구조나 움직임이 그만큼 복잡하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다.  
 4. 성격 : 부녀 노동요, 낙천적

<동기로 세 몸 되어>
 1. 성격 : 서정적(오륜가), 애상적,
 2.주제 : 헤어진 혈육에 대한 그리움
 3. 갈래 : 평시조
 
 <재 너머 성궐농 집에>
 1. 성격 : 해학적, 풍류적
 2. 주제 : 선비의 풍류와 해학
 3. 갈래 : 평시조
 
 <귀또리 저 귀또리>
 1. 성격 : 연모가, 감정 이입
 2. 주제 : 가을밤에 임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
 3. 갈래 : 사설시조

<청산도>
 1. 표현상의 특징
  ·청산에 대화를 건네는 방식으로 의인화 기법이 사용되었다.
  ·산문율의 긴 호흡과 반복 어법으로 급박한 리듬감을 형성하며 시상을 전개하였다.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가 대조되어 있다.
 2. 주제 : 건강하고 이상적인 사회의 도래에 대한 열망
 3. 성격 : 묘사적, 서정적, 열정적
 4. 시상 전개
  기(1연) : 배경인 청산의 정경
  승(2연) : 볼이 고운 사람에 대한 그리움
  전(3연) : 볼이 고운 사람에 대한 기다림
  결(4연) : 청산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껍데기는 가라>
 1. 표현상의 특징
  ·구호와 같은 단순한 구절을 반복하여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바람직한 역사적 사건과 현실의 부정적 요소가 대조되고 있다.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주제를 직설적으로 표출하였다.
  ·강한 신념에 찬 열정적 어조로 신념을 드러내고 있다.
 2. 성격 : 현실 참여적, 저항적
 3. 주제 : 진정하고 순수한 민족적 삶에의 지향
 4. 시상 전개 : 1연 : 4월의 순수 정신 옹호
    2연 : 동학 농민 전쟁의 순수 정신 옹호
    3연 : 순수한 아름다움이 존재하는 땅
    4연 : 순수의 옹호 및 무력에 대한 거부
<참회록>
 1. 표현상의 특징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였다.
  ·상징적인 심상을 통해 시인의 내면 의식을 표출하였다.
  ·'거울'이라는 매개물을 통해 독백적이고 자기 성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역사 의식과 자아에 대한 성찰이 서로 맞물리고 있다.
 2. 성격 : 상징적, 자기 고백적, 성찰적
 3. 주제 : 역사 속에 비춰진 자아에 대한 성찰과 참회
 4. 시어의 상징적 의미
  ·구리거울 : 패망한 조선 왕조의 유물로 자아를 비춰 주는 매개체이다.
  ·밤 : 암담한 현실을 상징함. '즐거운 날'과 대조됨.
 5. 시의 짜임
  ·1연 : 역사 속에 남은 욕된 자아
  ·2연 : 지난 생애에 대한 반성
  ·3연 : 현재의 부끄러운 고백에 대한 미래의 참회
  ·4연 : 끊임없는 자아 성찰
  ·5연 : 미래에 발견하게 될 참된 자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