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한국 서예사)* There may be many wrong translations, but I hope you'll forgive me as I'm practi...
By.권상호Views.2090
1인 기업 되는 법‘선택과 집중’이 가장 중요필수요소 – 내 콘텐츠, 유통 채널, 마케팅경험, 지식과 지혜, 취미, 관심사, 큐레이션(편집)해당 분야의 책 30권 이상 읽으면 배경지식이 생겨 말하는 능력이 생긴다.쉽...
By.권상호Views.2066
성공학 강의1 - ‘당신도, 자녀도 부자가 될 수 있다’- 이금희, 손범수 2008. 6. 12일(목) / 경영학 박사 이영권 KBS 해피 FM 진행자(1955~2015. 9) 30대 후반 대기업 임원- 경영학의 양...
By.권상호Views.2539
健康 文字學Kwon Sangho 健康(건강, jiànkāng, けんこう) : 健은 몸이 편안 것이고, 康은 마음이 편한 것이다. 정신적·육체적으로 탈이 없고 튼튼하거나, 또는 그런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건강이야말로...
By.권상호Views.2249
四字成語뜻은 아래에...貧者一燈(빈자일등) 負笈從師(부급종사)一觸卽發(일촉즉발)酒池肉林(주지육림)道聽塗說(도청도설)平地風波(평지풍파)孤掌難鳴(고장난명)前人未踏(전인미답)捨小取大(사소취대)犬猿之間(견원지간) 斗酒不辭(...
By.권상호Views.2225
I'm happy to meet you.My name is Kwon Sang Ho, a Korean calligrapher.Moreover, it is my honor to perform calligraphy in ...
By.권상호Views.2164
서예는 그 사람 이상일 수 없다.그렇다면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당장 머리에 떠오르는 이상형은 '선비'이다.그렇다. 서예를 하려면 선비 정신이 요구된다.여기에 선비의 생활과 정신 세계를 요약하며 살펴보기로 한다.선비...
By.권상호Views.2183
吝嗇하지 말고 布德하라인색(吝嗇)하다는 말은 ‘인색하게 굴다’에서처럼 재물을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치거나, ‘박수에 인색하다’에서처럼 어떤 일을 하는 데 대해서 지나치게 박할 때 쓰는 말이다. 두 글자의 공통점은 ...
By.권상호Views.2375
樂戲行書1. 行書의 特長(1) 行書 = ‘楷書(본보기, 법식 楷)의 法度’+‘草書의 柔軟’ = 藝術性+實用性(2) 先楷後行, 直曲調和 -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3) 氣貫全身...
By.권상호Views.2379
* 존재의 이유 ‘하이데거’ https://www.instiz.net/pt/5773163당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하루밖에 남지 않았다면 당신은 지금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실증주의, 합리주의 철학의 발달로 ...
By.권상호Views.2294
달라이라마 – <해심밀경(解深密經) :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유식사상(唯識思想)의 근본 경전.\"유식(唯識)\"에서 유(唯)는 \"오직\"을 뜻하며 식(識)은 의식(Consciousness) 또는 ...
By.권상호Views.2327
집 이야기 2 - 宀, 穴, 洞, 广, 舍宀(向, 出, 各, 路, 客), 家, 宅(댁 댁, 집 택; zhái,zhè, 몸을 의탁하는 집), 窩(달팽이 蝸, 소용돌이 渦), 室(屋), 宣(황제의 大宮室. 日은 원래...
By.권상호Views.1970
stress, sympathy, poisoning, pride, anxietystress 받고 살자 – 신영철의 마음 건강 plus1. 스트레스(stress)란 무엇인가?항상성(恒常性)을 깨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
By.권상호Views.1881
미래의 새로운 직업들 (미래 트렌드 레시피) / 미래예보 Season3- myF청년 실업이 국가적 재난 수준이다. 창직을 위한 몸부림.Future Forcast – Make your futuresfuture cast...
By.권상호Views.2485
宮闕 건물의 서열 - 전당합각재헌루정의식주(衣食住)의 하나인 우리말 ‘집’은 <두시언해에 초간본의 ‘딮(草)’이나, 중간본의 ‘딥(家)’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집을 짓다’라고 할 때의 동사 ‘짓다(作)’는 ‘...
By.권상호Views.2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