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서예계소식

김정희 <세한도>, 윤두서 <자화상> 1월 8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

http://www.mct.go.kr/<문화관광부> 소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조선시대의 명품인 김정희의 <세한도>(국보 제180호)와 <묵란도>, 그리고 윤두서의 <자화상>(국보 제240호)을 1월 8일(일)까지 전시한다. 관람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개인 소장 문화재인 <세한도> 등을 새 국립중앙박물관 개관에 맞춰 미술관 Ⅰ 회화실에서 특별 공개하였다. 전시 기간 종료 후 이 작품들은 곧 소장가들에게 반환된다.  

사진과 책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김정희의 <세한도>와 <묵란도>는 그의 철학과 예술역량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특히 많은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은 <세한도>는 김정희(1786~1856)가 59세(1844년작)에 그린 것으로 제주도에서 5년째 유배생활을 하던 중에, 그의 제자 이상적(1804~1865)이 자신을 대하는 한결같은 마음에 감격하여 그려 보낸 작품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 윤두서(1668~1715)가 그린 <자화상>은 정면을 응시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초상으로서 역대 조선의 초상 중에서 획기적인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들은 조선의 예술사를 대표하는 걸작으로서 이번 특별공개를 통해 조선 선비들의 삶과 정신을 전할 수 있는 귀중한 계기가 되었다. 이들 작품의 반환 후에는 우리관 소장 문화재인 부자가 합작으로 그린 김두량 · 김덕하필 <사계산수도>, 김정희의 글이 써 있는 이재관필 <강이오 초상>, 조희룡필 <묵죽도>가 교체 전시된다.  

이밖에 많은 서예 애호가들을 감동시켰던 김정희의 <해인사 중건 상량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33호)과 탄연의 <청평산 문수원기 비석 조각들>은 지난 12월25일까지 미술관 Ⅰ서예실에서 전시를 마치고 소장 기관으로 반환되었다. 이들 작품에 이어 서예실에서는 지난 12월27일(화)부터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글씨자료인 <흥덕왕릉 비석 조각들>과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명필 강세황(1712-1791)이 쓴 <제사에 대한 글>(1781년), 그리고 김정희의 친구이자 그와 쌍벽을 이루던 명필 권돈인(1783-1859)이 쓴 <서예에 대해 논한 글(論書帖>(1854년)을 전시하고 있다. 


미술관 회화실 교체전시품


1. 교체일시: 2005년 1월 9일(월)

2. 반환하는 작품: 김정희 필 <세한도>, <묵란도>  손창근 소장,  윤두서 필 <자화상>  해         남 윤형식 소장

조선 말기의 뛰어난 학자이자 서화가인 김정희(1786∼1856)의 대표작이다. “세한도歲寒圖”라는 제목은 추운 시절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다는 공자의 말에서 나왔다. 까칠한 마른 붓질과 절제된 묘사는 그림의 뜻과 정신을 중요시하는 문인화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공재恭齋 윤두서는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과 예술을 벗하면서 평생을 보냈다. 그의 그림은 조선후기 회화의 선구적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 자화상은 사실적이면서도 화가의 내면을 깊이 꿰뚫는 듯한 얼굴 묘사가 돋보이는 걸작이다.




3. 새로 전시하는 작품

  

   김두량 ․ 김덕하필 사계산수도

   이재관필 강이오 초상

   조희룡필 묵죽도



 

김두량․ 김덕하필 <사계산수도> 부분, 1774년, 비단에 엷은색, 8.4×184.0cm


봄․ 여름․ 가을․ 겨울(春夏秋冬)의 산수를 두 폭의 긴 두루마리에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제발(題跋)과 간기(干紀)로 보아 김두량(金斗樑, 1696-1763)과 그의 아들 김덕하(金德夏)가 1744년에 그린 것이다.



 

이재관필 강이오 초상, 63.9×40.3cm, 비단에 채색


강이오는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이자 정조 연간에 서화계를 총수격인 강세황(姜世晃)의 손자이다. 관복을 입은 상반신 만을 그린 이 초상화는 실물에 가깝게 잘 묘사하여 강이오의 인품과 성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윤두서 필 <자화상>, 종이에 엷은색, 38.5☓20.5cm, 국보 제240호, 해남 윤형식 소장

김정희 필 <세한도>, 1844년, 종이에 먹, 23.8☓108cm, 국보 제180호, 손창근 소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